우크라이나는 세계 3대 곡창지대인데, 대평원의 일부인 우크라이나 흑토 지대는 농업 생산에서 큰 비중이야.
북미의 프레리나 아르헨티나 팜파스와 마찬가지로 흑토지대는 방대하며 푸른 하늘이 아름다운 곳이지만, 길을 잃을 수 있다는 또래의 경고가 있어.
이 지역에서는 비행기로 수확을 하거나, 대규모 수확을 위한 군 단위의 인력을 동원해 미국 대평원에서 볼 수 있는 광경과 비슷해.
여기는 우크라이나의 수도인 키이우와 드네푸르 강이 위치해있어, 우크라이나 역사에서 강은 중요한 역할을 했어요.
![](https://blog.kakaocdn.net/dn/IJX70/btsEGLPDpAs/MZPcXhEiXc07zrKPYsAnV0/img.jpg)
세계 3대 곡창지대 중 하나인 팜파스 지역은 소와 양의 사육에 적합한 땅으로 알려져 있어요.
체르노빌은 체르놈 흑토로 유명한, 우크라이나의 비옥한 토지일 뿐만 아니라 과거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지배를 받았거나 체르노빌 사건의 중요한 장소로도 이야기되는 곳이에요.
![](https://blog.kakaocdn.net/dn/y09tW/btsEDhXm91A/0wcpKfCqGKFKxfnhWuppt1/img.jpg)
우크라이나에는 지역적인 갈등이 심각해서 현재 서로 싸우고 있어요.
동우크라이나에 있던 러시아 사람들은 자신들이 러시아의 한 지역이었다고 생각하고, 우크라이나 사람들은 우크라이나로 인정받아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어요.
2004년 우크라이나 대통령 선거 때는 친러시아와 친유럽, 친서방 당이 대립하여 분열이 심했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fDwS7/btsEFTAza8J/zf8xeUhWROz2kSJgBSenzk/img.jpg)
2004년, 우크라이나 대통령 선거에서 빅토르 유센코와 빅토르 야누코비치가 경쟁하며 친러의 야누코비치가 당선되었지만, 부정선거 논란이 발생했어요.
우크라이나 국민들은 이를 항의하고 오렌지 혁명을 일으키며 재선거를 요구했어요.
재선거는 실제로 이뤄지고 12월에 2단계로 나눠졌어요.
이후에는 다시 유센코와 야누코비치가 대통령 후보로 나와 시즌2가 시작되었어요.
![](https://blog.kakaocdn.net/dn/cGPFT2/btsEFljNc5W/qUzcYc7syxKkkVage7Wz5k/img.jpg)
재선거 과정에서 대통령 후보인 우크라이나 유센코 형이 독약으로 중독되었다는 음모론이 퍼지고, 이 소식이 세계적으로 크게 확산되었죠.
국가보안국 국장과 저녁을 먹은 후 독에 중독되었다는 이야기가 돌아 유센코 형의 얼굴이 크게 변하여 세계적인 관심을 받았어요.
이 음모론으로 인해 대중들 사이에서 '우리나라 대통령 후보가 독살을 시도했을까?'하는 논란이 퍼지게 되었고, 결국 유센코 형이 선거에서 승리했죠.
![](https://blog.kakaocdn.net/dn/EzCSh/btsEDhiIDqR/ECAT7NZZzGKZ1iUsr9Tdb0/img.jpg)
대선을 승리한 유센코 후보가 대통령에 취임하면서 당시 우크라이나의 모습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이 때, 총리 자리에는 우리나라에서 유명한 외모의 요 티모셴코씨가 취임했어요.
그러나 대통령과 총리가 갈등을 빚어 결별하고 지지율이 떨어지게 되었어요.
이 사건으로 우크라이나 내부에서 권력관계 문제가 있음을 알게 되었어요.
![](https://blog.kakaocdn.net/dn/dzBQz4/btsEEEYxTxq/VkhiKibJsZoqTbDKlrugV0/img.jpg)
'친러'와 '티모셴코' 후보가 대선에서 경쟁하면서 여론이 갈렸어요.
당선된 친러 야누코비치가 자신감 있는 듯한 발언을 한 반면, 티모셴코 후보는 대통령 선거 후 감옥에 갔죠.
국민들은 이러한 근저당을 보자마자 '왜 적폐세력이 대통령 직책에 올랐나?'라고 생각할 수밖에 없었어요.
또한, 인구 비율이 작은 오른쪽 '친러'가 이긴 것도 여론 속에서 이승만 대통령같은 느낌으로 받아들여졌다고 볼 수 있어요.
![](https://blog.kakaocdn.net/dn/bjLBfM/btsEEvnftYG/DJcy1uqIJWpMbgUk6KA8HK/img.jpg)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미국 지지를 얻은 후 러시아와의 갈등 이슈가 생겨나 탄핵운동이 일어났어요.
탄핵 후 도피한 대통령은 러시아에 갔고, 또한, 인터뷰에서 푸틴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대통령의 군사 개입을 요청했다고 발언하는 등 충돌이 지속됐어요.
러시아인들은 전통적으로 우크라이나를 자신들의 본토로 여기기 때문에 관계가 긴장되어 있는 것 같아요.
![](https://blog.kakaocdn.net/dn/boWd7l/btsEEzXnHFS/wr7VG8jwWAbXmjkHLUDmo1/img.jpg)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의 군사적 갈등 발발, 크림반도 합병과 크림대교 건설이 이뤄졌어요.
러시아 대통령인 푸틴은 우크라이나 지역을 집어삼키려는 의도가 있는 것으로 보여졌죠.
이로 인해 우크라이나와의 전쟁이 펼쳐지며 돈바스 지역을 둘러싼 갈등도 일어났어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간의 정치적 갈등으로 인해 두 나라 사이의 영토 분쟁이 계속되고 있어요.
![](https://blog.kakaocdn.net/dn/cJocli/btsEEFJT8ho/rmiq8ktuxknWWJdmHWXY80/img.jpg)
서방 개입으로 '민스크 협정' 체결되어 우크라이나 동쪽 땅과 크림반도 접수했어요.
러시아 제재로 유럽과 긴장 관계가 있지만 우크라이나 반대해, 인구 1,000만 줄인 대기 군주기근까지 있었어요.
러시아-우크라이나의 관계는 송곳니구요.
당시의 소련 지도자는 스탈린이었어요.
![](https://blog.kakaocdn.net/dn/ccjHM0/btsEEXpY3QJ/ALVfXa4bZSKdyZSzx97QB0/img.jpg)
우크라이나에서는 공산화 정책에 따라 농촌도 집단화되어 집단농장과 공동노동이 이뤄졌어요.
하지만 소련의 수탈로 인해 곡물과 가축 등이 모두 가져가져지고, 심지어 파종을 위해 남겨둔 곡물종자까지 빼앗겨 2년 사이에 300만~800만명의 인구가 죽는 사건이 발생했어요.
이 사건은 중국을 제외하고는 현대사에서 가장 최악의 학살로 평가되며, 우크라이나에서는 제노사이드로 비유되는 '대기근학살'로 인해 수많은 사람들이 굶어죽었어요.
당시에는 남자의 기대수명이 7세, 여자의 기대수명이 10.9세로 매우 낮아지는 등 지옥과도 같은 상황이었어요.
![](https://blog.kakaocdn.net/dn/BrEa9/btsEFeSykyz/GHKkYTTCx8VIlI2LbTYBu1/img.jpg)
우크라이나에는 1,000만 명 이상이 굶어죽었던 히로시마 동상과 광부들을 대신해 방사성 물질을 처치한 동상이 있어요.
하지만 유태인 홀로코스트와 같이 유명하지 않은 이유는 발생 지역이 우크라이나와 같은 동유럽 지역이기 때문이에요.
우크라이나는 대기근과 대학살 등을 겪으며 노동력 엑소더스가 계속되고, 인구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게다가 월평균 임금도 낮아, 동유럽 국가들 중에선 '곡창지대'에 해당돼요.
2020년에만 320만 명 이상이 나가고 있으며, 매년 90만 명도 이주한다는 사실이요.
![](https://blog.kakaocdn.net/dn/4yeil/btsEEx6qePA/KBkMAQKrmGPIX8XFKHHnwK/img.jpg)
우크라이나는 1990년대 이래로 유럽에서 가장 가난한 나라로 계속해서 감소했지만, 여전히 유럽 42개국 중 가장 가난한 나라가 되었죠.
이러한 모순적인 상황은 체르노젬의 비옥한 토지를 갖고 있는데도 발생했습니다.
소련 이주 정책으로 인해 잠깐 독립을 선언하였으며, 이로 인해 러시아와의 관계가 좋지 않습니다.
또한, 우크라이나의 이웃인 몰도바도 가난한 나라입니다.
예전에는 몰도바가 우크라이나보다 가난한 나라로 소개되었습니다.
게다가, 동아시아에도 '젤리나 우크라이나'라는 나라는 존재하지만, 이건 오로지 재미로만 들을 수 있는 이야기일 뿐입니다.
'생활에 도움될 만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징기스칸과 지옥에서 온 군대, 학살을 시작하다 (2) | 2024.02.10 |
---|---|
세계 최대급 파산 '리만 브라더스 사태' 쉽게 이해하기 (2) | 2024.02.10 |
주주총회에 나타나서 깽판치는 애들은 뭐하는 애들일까? 깽판인생 30년의 주총꾼 (0) | 2024.02.09 |
코스피가 쨍하고 해뜰날이 있겠어? 우리나라의 증시는? (2) | 2024.02.08 |
유럽은 잘 살고 있는거 아니였어? 유럽농민들은 왜 분노를 했을까? (0) | 2024.02.08 |